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Nas
- Visual Studio Code
- 대전 해프닝
- ESB
- 대전 유성 해프닝
- 막창
- 정보처리기사공부
- vsC
- 인터페이스
- 김치찌개
- 관평동 황해칼국수
- 관평동 맛찬들
- 정보처리기사실기공부
- 대전 황해칼국수
- 통합 구현
- 대전 충대근처 해프닝
- 충대근처 맛집
- 관평동 고기맛집
- 맛찬들 고기맛집
- 다이소마켓 사기
- 대전 뇨끼맛집
- 맛찬들 김치찌개
- EAI
- 관평동 맛집
- 정보처리기사실기
- 보쌈전골
- 관평동 칼국수 맛집
- HTML
- 대전 맛집
- 보안용어
- Today
- Total
은팡이의 이것저것
갤럭시북 VMware 느린현상 본문
새로 구매한 갤럭시북4프로.. 개발에 필요하여 VMware를 설치하여 실행
실행은 잘됐으나 소스수정을 위해 실행한 VB6.0가 많이 버벅거렸다.
(스크롤을 내리면 렉걸린거마냥 아주 조금씩 움직임..;;)
여러가지 검색결과 갤럭시북의 문제인것같다.
해결 방법은 아래의 방법을 이용했다
참고로 본인은 window11 사용중이다.
한단계식 해보면서 확인해보자. 본인은 2단계부터 잘 작동했음.
0.VMware 관리자모드로 실행(설정에서 항상 관리자모드로 실행하도록 설정하자)
1.윈도우 검색에 '코어 격리' 검색-> 메모리무결성 끔 ->펌웨어 방지 끔 -> 윈도우 재시작
2. 윈도우 검색에 'windows 기능 켜기/끄기' 검색 -> 'Windows 하이퍼 바이저 플랫폼','Virtual Machine Platform' 두가지 끔 -> 윈도우 재시작
3. 윈도우 검색에 '레지스트리 편집기' 검색 -> 컴퓨터\HKEY_LOCAL_MACHINE\SYSTEM\CurrentControlSet\Control\DeviceGuard 여기서 EnableVirtualizationBasedSecurity 값 삭제 -> 윈도우 재시작
끝!
++윈도우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면서 해당 설정들이 자동으로 돌아올때가 있다..다시 설정해서 사용하도록하자.
+++위의 내용을 전부해도 해결이 안되는 상황이 발생해버렸다.
시스템정보 -> 시스템 요약 -> 가상화 기반 보안(사용안함이어야함)
가상화기반보안이 사용중이면 다시 느려지는걸 확인..
해당 설정을 수정해주자
1.cmd를 관리자모드로 열고 아래의 내용을 붙여넣어 실행
mountvol X: /s copy %WINDIR%\System32\SecConfig.efi X:\EFI\Microsoft\Boot\SecConfig.efi /Y bcdedit /create {0cb3b571-2f2e-4343-a879-d86a476d7215} /d "DebugTool" /application osloader bcdedit /set {0cb3b571-2f2e-4343-a879-d86a476d7215} path "\EFI\Microsoft\Boot\SecConfig.efi" bcdedit /set {bootmgr} bootsequence {0cb3b571-2f2e-4343-a879-d86a476d7215} bcdedit /set {0cb3b571-2f2e-4343-a879-d86a476d7215} loadoptions DISABLE-LSA-ISO,DISABLE-VBS bcdedit /set vsmlaunchtype off bcdedit /set {0cb3b571-2f2e-4343-a879-d86a476d7215} device partition=X: mountvol X: /d |
2.재부팅하면 영어로 쏼라쏼라 나오는데 윈도우키를 눌러서 진행해주면 된다.
3.모두 진행되면 다시 시스템정보에 들어가서 가상화기반보안이 사용안함인지 확인하면 끝!
다시빨라진 vb...만세....ㅠ
'IT개발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V6 프로젝트 .ocx 파일을 찾을수없습니다. (0) | 2025.03.21 |
---|---|
C# WPF xaml디자이너 오류(XDG0008) (0) | 2025.02.24 |